COMPANY
SERVICE
PRODUCT
NEWS
ABOUT
CONTACT
맞춤형 미생물 제제 개발 SSD:TECH
맞춤형 다품종 소량생산 시스템
농업 빅데이터 분석 서비스
농업 분야 컨설팅
농업, 축산, 환경 분야 유용 미생물
농업 유용 미생물 배양 특화배지
분변이식용 미생물 캡슐
MEDIA
BLOG
PRESENTATION
COMPANY
ABOUT
CONTACT
SERVICE
맞춤형 미생물 제제 개발 SSD:TECH
맞춤형 다품종 소량생산 시스템
농업 빅데이터 분석 서비스
농업 분야 컨설팅
PRODUCT
농업, 축산, 환경 분야 유용 미생물
농업 유용 미생물 배양 특화배지
분변이식용 미생물 캡슐
NEWS
MEDIA
BLOG
PRESENTATION
NEWS - MEDIA
microbalance
영상
갤러리 보기
Search
[제50차 대구스타트업 리더스포럼] IR피칭
YOUTUBE
[제50차 대구스타트업 리더스포럼] 기업 인터뷰
YOUTUBE
언론 속 마이크로발란스
[M이코노미뉴스] "화학 농약·비료가 기후변화 유발...탄소저감 대안은 미생물 활용"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농업미생물 활성화 토론회가 19일 국회에서 열렸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농해수위) 소속 위성곤, 김승남, 어기구, 신정훈 더불어민주당 의원과 농촌진흥청이 주최하고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이 주관한 이날 토론회는 이상 기후 상시화로 농산물 품질 저하가 급증하고 화학비료농약 사용이 증가하는 가운데 농업미생물 활용으로 지속 가능한
“농업에 미생물 활용, 탄소저감 효과 주목”
[한국농어민신문 이병성 기자] 미생물이 농업분야 탄소 저감 대책으로 주목되고 있어 정책적 육성이 필요하다는 제언이 나왔다. 미생물을 활용해 무기질비료와 농약의 사용량을 줄이면서 관행 재배법보다 농산물 생산량이 증가한 현장 사례도 전해졌다. 최근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농업미생물 활성화 방안 토론회’에서 전문가들은 미생물의 농업적 활용에 관심을 기울이고 정책적으로 육성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이번 토론회는 위성곤·어기구·신정훈·김승남 의원이 공동 주최하고,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주관으로 진행됐다. 토론회에서
[영농자재신문(주)] 탄소중립 실현 위해 농업미생물 활성화 나서야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소속 위성곤 의원(더불어민주당, 제주 서귀포) 등과 농촌진흥청(청장 조재호)은 지난달 19일 국회의원회관에서 농업미생물 활용으로 탄소 저감형 농업을 확대하고 나아가 지속 가능한 농업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농업미생물 활성화 방안 국회토론회’를 열었다. 이번 토론회에서는 ▲식물병해충 방제를 위한 새로운 지평
Guest article: What's driving green biology innovation in South Korean agriculture
Agriculture in South Korea is experiencing significant transformation driven by advancements in microbiome technology and natural products.
“미생물로 땅의 미래 알 수 있죠”
“이 땅에서 인삼 농사를 얼마나 더 지을 수 있을까요?” 한국 인삼이 세계 최고의 품질을 자랑 할 수 있는 조건으로는 기후나 재배 기술도 있겠지만, 토양이 결정적이다. 인삼을 심기 전부터 재배지를 엄선하고, 2년 간 토양을 관리한다. 대신 인삼을 수확하고 난 토양은 10년 이상 농사를 지을 수 없는 땅이 된다. 양분을 모조리 빼앗기기 때문이다. 기존과 달리 농사를 이어지을 수 있는 땅인지 구분하고 토양을 금방 회복할 수 있는 기술...
“이 땅의 미래를 알고 싶어?” 미생물 박사의 농사 실험 [지구, 뭐래?]
“이 땅에서 인삼 농사를 얼마나 더 지을 수 있을까요?” 한국 인삼이 세계 최고의 품질을 자랑 할 수 있는 조건으로는 기후나 재배 기술도 있겠지만, 토양이 결정적이다. 인삼을 심기 전부터 재배지를 엄선하고, 2년 간 토양을 관리한다. 대신 인삼을 수확하고 난 토양은 10년 이상 농사를 지을 수 없는 땅이 된다. 양분을 모조리 빼앗기기 때문이다. 기존과 달리 농사를 이어지을 수 있는 땅인지 구분하고 토양을 금방 회복할 수 있는 기술...
“농업 스타트업, 글로벌 시장에서 기회 잡아라”
소풍벤처스 '월간 클라이밋' 개최韓 농업의 미래, 로컬기업에 달렸다기후기술 스타트업, 해외로 나가야 “국내에서는 전 국민이 소비하는 농산물 양의 25%밖에 생산할 수 없습니다. 나머지는 해외에서 조달해야 하죠. 한국의 기후·지정학적 조건과 경제적 기회비용 때문입니다. 한국
농촌과 스타트업은 과연 함께 성장할 수 있을까? - 바이라인네트워크
스타트업이 기후위기, 식량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제시하는 방안이 농가에 반가운 일이기만 할까? 꼭 그렇지만은 않아 보인다. 스타트업이 농업의 성장을 위해 제시하는 전략이, 개별 농가의 수익에는 큰 도움이 되지 않는 상황이 올 수 있어서다.
낙동강 공기 녹조독성, 미국의 523배
<br/>뇌 질환 유발 'BMAA' 등 1.5㎞까지 퍼져 … 강·농산물·수돗물 이어 공기까지 오염<br/>